Search

'신봉승'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2.06.29 신봉승 / 조선 정치의 꽃 정쟁 2
  2. 2012.01.03 신봉승 / 문묘 18현 : 조선 선비의 거울

신봉승 / 조선 정치의 꽃 정쟁

오늘의 책 2012. 6. 29. 09:02 Posted by 따시쿵

신봉승(辛奉承)


1980년대 만 8년 동안 MBC TV를 통해 방영된 대하사극 ‘조선왕조 500년’을 비롯하여, ‘왕조의 세월’ ‘한명회’ 등 숱한 히트작을 발표하며 역사드라마의 현장을 지켜온 한국의 대표 극작가. 시인, 소설가, 문학평론가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해온 그는 철저한 고증을 거친 작품으로 대중에게 역사의식을 불어넣어 왔다.

 

1933년 강릉 출생으로 강릉사범, 경희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현대문학」에 시·문학평론을 추천받아 문단에 나왔다. 한양대·동국대·경희대 강사, 한국시나리오작가협회 회장, 대종상·청룡상 심사위원장, 공연윤리위원회 부위원장, 1999년 강원국제관광EXPO 총감독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추계영상문예대학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방송대상, 대종상, 청룡상, 아시아영화제 각본상, 한국펜문학상, 서울시문화상, 위암 장지연상, 대한민국예술원상, 등을 수상하였고,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대하소설 조선왕조 5백년』(전 48권), 『소설 한명회』(전 7권), 『이동인의 나라』등의 역사소설과 역사에세이『양식과 오만』, 『신봉승의 조선사 나들이』, 『역사 그리고 도전』(전 3...1980년대 만 8년 동안 MBC TV를 통해 방영된 대하사극 ‘조선왕조 500년’을 비롯하여, ‘왕조의 세월’ ‘한명회’ 등 숱한 히트작을 발표하며 역사드라마의 현장을 지켜온 한국의 대표 극작가. 시인, 소설가, 문학평론가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해온 그는 철저한 고증을 거친 작품으로 대중에게 역사의식을 불어넣어 왔다.

 

1933년 강릉 출생으로 강릉사범, 경희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현대문학」에 시·문학평론을 추천받아 문단에 나왔다. 한양대·동국대·경희대 강사, 한국시나리오작가협회 회장, 대종상·청룡상 심사위원장, 공연윤리위원회 부위원장, 1999년 강원국제관광EXPO 총감독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추계영상문예대학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사책을 읽는 것은 과거가 현재와 미래에도 재현되기 때문이다.

그러키 때문에 과거를 암으로써 현재를 재조명할 수 있고, 과거의 공과功過를 가려서 계승 발전 시킬 것과 단절시켜야 할 것들의 옥석을 가릴 수가 있다.

 

 

신봉승 작가의 책은 딱딱하지 않은 필체와 유려한 내용 구성으로 책을 읽는 순간 재미가 솔솔 나온다는 것이다. 역사책이라고 하면 흔히 알고 있는 시간적인 사건 구성과 등장 인물들의 딱딱한 캐릭터 선정으로 지루할 수 있는 부분을 흔히 알고 있는 소설책 수준으로 글 전개를 하면서도, 사실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강한 임펙트를 독자에게 전달하려고 한 부분이 맘에 든다.

  

예나 지금이나 정치라고 하면 파벌 싸움인 것만은 명백한 사실인 것 같다.

책 내용중에 다음의 두 구절은 전체적인 맥락에 맞는 글귀라 생각이 들어 포스팅한다.

 

 

 

군자君子는 군자와 더불어 도道를 함께하고 붕朋을 이루며

소인小人은 소인끼리 이利를 같이하여 붕朋을 이루니,

군주가 소인의 위붕僞朋을 물리치고 군자의 진붕眞朋을 쓴다면

천하가 잘 다스려질 것이다

                                            - 구양수 <붕당론> 

 

 

 

영조대왕이 탕평비에 적었다는 공자의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 실린 글귀다.

 

두루 통하여 편벽하지 않는 것이 군자의 공정한 마음이요, 周而不比 乃君子之公心
편벽하여 두루 통하지 않는 것이 소인의 사사로운 마음이다. 比而不周 寔小人之私意

 

육신을 버림으로써 이름을 남기다, 조선 선비들의 지조
세상이 혼란스럽다고 말한다. 누군가는 말한다. 정치가 잘못되었기 때문이라고. 실제로 선거철 때마다 반복되는 '철새 정치인'들은 국민의 정치 참여 의욕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보고 조선의 선비들은 무엇을 생각할까. 예송논쟁 등에서 발견되듯, 조선의 선비들은 원칙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물론 그렇지 못한 선비들도 많았지만, 자신이 믿는 가치와 대의를 지키기 위해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문묘 18현』은 지조를 지킨 선비들의 이야기이다.
조선은 왕조였지만, 왕의 전체화를 견제한 신하들의 직언으로 유지된 사회였다. 목숨을 건 직언으로 왕에게 올바른 정치를 일깨우고자 했던 유학자들이 있으니 이들을 책에서는 '문묘 18현'이라고 칭했다. 18명의 명단에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조광조, 이이, 이황 등이 포함된다. 조선의 선비 외에도 저자는 설총, 정몽주 등 신라와 고려 시대에 활약한 선비들을 함께 다루고 있다.

辛奉承
1980년대 만 8년 동안 MBC TV를 통해 방영된 대하사극 ‘조선왕조 500년’을 비롯하여, ‘왕조의 세월’ ‘한명회’ 등 숱한 히트작을 발표하며 역사드라마의 현장을 지켜온 한국의 대표 극작가. 시인, 소설가, 문학평론가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해온 그는 철저한 고증을 거친 작품으로 대중에게 역사의식을 불어넣어 왔다. 

1933년 강릉 출생으로 강릉사범, 경희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현대문학」에 시·문학평론을 추천받아 문단에 나왔다. 한양대·동국대·경희대 강사, 한국시나리오작가협회 회장, 대종상·청룡상 심사위원장, 공연윤리위원회 부위원장, 1999년 강원국제관광EXPO 총감독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추계영상문예대학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방송대상, 대종상, 청룡상, 아시아영화제 각본상, 한국펜문학상, 서울시문화상, 위암 장지연상, 대한민국예술원상, 등을 수상하였고,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대하소설 조선왕조 5백년』(전 48권), 『소설 한명회』(전 7권), 『이동인의 나라』등의 역사소설과 역사에세이『양식과 오만』, 『신봉승의 조선사 나들이』, 『역사 그리고 도전』(전 3권), 『직언』, 『국보가 된 조선 막사발』, 『일본을 답하다』 등과 시집 『초당동 소나무 떼』, 『초당동 아라리』외 『TV드라마 · 시나리오창작의 길라잡이』,『국가란 무엇인가』등 다수가 있다


 


강직한 인품과 절개로 삶을 살아가는 선비들에 대한 재조명이라 할 수 있다.

신라 2명, 고려 2명, 조선 14명 총 18명의 문묘에 배향 된 사람들에 대한 인생을 재조명하고 그들이 쌓은 학식과 인품을 엿볼 수 있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문묘에 배향된 대부분의 선비들은 정여창과 같이 강직한 성품으로 사약으로 생을 마감하거나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하는 비운의 선비였지만 후대 사람들을 그들을 지조 있는 선비로 여기고 죽은 지 몇백년이 지난 후에도 기억을 하고 있다. 살아 생전 부귀영화를 누린 선비에 대한 얘기는 거의 없다 시피하다.

그들이 공통적으로 지향한 것은 실천궁행(實踐躬行), 학지어행(學至於行)과 같이 배운 것을 몸에 익혀서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는 것이다. 머리로 배워서 최종 목적지는 가슴에 도달하고 또다시 연마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 고스란히 나타났다는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많은 것들을 반성하게 하는 대목이다.

학문이나 지식을 머리로만 익히는 현세태에 경적을 일으킬만한 삶을 살았으니 이보다 아름다운 삶이 또 어디 있겠는가???

어린 아이에 대한 공부법도 나와 있는데 백번 공감하는 내용이라 적어 본다,
율곡 이이 선생 왈 [어린 아이를 예(禮)로써 가르치면 나라가 바로 서고, 법(法)으로 가르치면 나라가 어지러워진다.] 

또 한 구절 기억에 남는 구절은 율곡 이이 선생 왈 [관직에 나아가 백성들을 편하게 살게 하지 못하면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이 또한 공무원들이나 회사원들이 한 번은 음미해 볼 구절이라 생각이 든다.